infra/Kubernetes

Elasticsearch node 역할elasticsearch의 node들은 아래와같은 역학들을 가지고있다. Master NodeElasticsearch Cluster 구성을 관리, 제어(인덱스 생성/삭제)를 담당한다. Elasticsearch Cluster는 최소 1개의 마스터노드를 가지고 있어야하며, 데이터 무결성을 위해서 최소 3개(split-brain 방지)의 마스터노드를 권장한다고한다.  Data  Nodedata를 실제로 저장하고 검색 로직을 처리하는 노드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cpu, mem 사용량이 많다.  Ingest  Nodedata를 Elasticsearch 에 저장하기 전에 전처리 하는 노드Ingest Pipeline을 이용해서 데이터 필터링, 전환, 정규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쿠버네티스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지는 않지만, 점점 익숙해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백엔드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면 "현재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가?", "어떤 요청이 많고, 장애가 발생했을 때 원인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같은 고민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ELK Stack을 구축하여 BE 서비스의 로그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직접 경험해보기로 했다. 이번 글에서는 Kubernetes에서 ELK Stack을 배포하고, 로그를 수집 및 분석하는 과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ELK Stack VS GrafanaELK 와 Grafana 둘 다 모니터링 도구이지만 각각의 사용 용도는 조금 다르다.  ELK 로그 수집 ..
Object란?쿠버네티스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영속성 엔티티   Object 주요 특징Spec (명세)사용자가 정의한 "원하는 상태" 설명 그대로 사용자가 kubernets에 원하는 상태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정의 가능 내용에는 아래와같은 내용들이 있다.컨테이너 이름사용 이미지리소스 제한 (CPU, MEM)볼륨 마운트 (Local, PVC) Status (상태)kubernetes Cluster의 "현재 상태" Status는 현재 상태를 나타내며, Spec 에서 사용자가 정의한 상태를 유지하려고 능동적으로 작업한다."읽기 전용"이므로 사용자가 수정할 수 없고, 변경 시 event가 발생한다.   Object 종류1. Podkubernetes 에서 배포되는 최소 단위이며,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그룹..
옛날에 혼자 서적을 사서 쿠버네티스를 조금 테스트해 보다가 시간이 없어서 잊고 지냈다. 그런데 최근에 우연히 쿠버네티스를 다룰 일이 생겨서 기억에 남길 겸 정리해 보려고 한다.  kubernetes란?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 가능한 확장 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선언적 구성과 자동화를 모두 지원한다. (출처: Kubernetes 공식 문서) 간단히 말하자면, 컨테이너 환경에서 서비스들을 관리하고, 다른 컨테이너들을 배포하며, 자동으로 스케일 아웃(Scale-Out), Ingress 등 오케스트레이션을 지원해 주는 플랫폼이다.    Cluster 란?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실행하는 노드(Worker 서버)와 이를 관리하고 전체적인 관제를 담당하는 노드(..
LIST
jjuni_96
'infra/Kubernetes'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