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 이유 현재 노트북으로 unix를 하나 돌리고 있는 환경에서 메모리 부족 및 크고자은 이슈들로인해 미니pc를 구매하였다. 해당 pc에 윈도우를 설치하여 문서 + 간단 테스트서버 정도로 환경을 구성하려고 생각을 하다보니 진행하게 되었다. Hyper-V 란? 💡 microsoft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VMware 서비스 특징? 1. 기본 os가 window 서버여야한다. 2. GuestOS를 사용한다. 1. 기본 환경 설정 일단 윈도우 설정에서 Hyper-v 옵션을 다 켜줘야한다. - window + i > 앱 > 프로그램 및 기능(우측)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Hyper-V 옵션 켜기 2. 서버 구성하기 2-1. 서버 만들기 - 새로만들기 > 가상컴퓨터 2-2. 이름 만들기 2-3. 세..
Network
문제 발생 물리 서버 구성을 하면서 사설 IP 공인 IP 와 NAT를 사용하여 구성을 하였었다. 컨테이너 구성 후 NAT 를 시켜서 연동을 하려는데 외부 업체로 인입이 안되고 있었다. 문제 분석 및 해결 1. 외부 방화벽 설정 => 문제 X 2. 내부(서버) 방화벽 => 문제 X 3. 네트워크 유실 => 문제 X 4. traceroute => O/B 문제 X 그 외에 패킷 확인 및 연동 데이터 이슈 등을 확인해보았다. 내가 아는선에서 다양한 확인을 해 보았지만 어디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 몰랐다...... 그러다 사수분이 현재 우리서버 => 업체 서버 로 나갈때 NAT 된 IP가 아닌 방화벽 IP를 달고 나가기때문에 외부 업체의 방화벽에 막히는 거라고 말씀해주셨다. 아래 명령어로 확인해보니 정말 그랬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