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서버로 서비스 이관 및 가상환경을 구성하면서 알게된 macvlan.... Docker 기본 네트워크 도커를 설치한 다음 아무런 설정도 하지 않고 컨테이너를 생성하면 위와 같은 구조 컨테이너를 생성하면 컨테이너의 namespace에 가상 인터페이스인 eth0이 생성되고, 호스트에는 veth를 접두어로 갖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생성되며 이 두 개가 연결된다. 그리고 중요한 점은, 각 veth는 docker0라는 이름의 브릿지에 연결됨으로써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즉 브릿지는 각 컨테이너들의 맥 주소와 IP를 내부 테이블에 저장시켜놓음으로써 패킷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왔다갔다 주고받고 얼씨구 할 수 있도록 하는, 2계층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 라고 보면 된다. 그렇지만 macvla..
전체 글
Let’s become the best developer 꼬부기Dockerfile이란? -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파일 CMD vs EntryPoint - CMD와 ENTRYPOINT는 일반적으로 컨테이너가 기동될때실행되는 명령어 - CMD는 여러개를 사용하여 실행 가능 - ENTRYPOINT는 하나만 사용가능 - CMD와 ENTRYPOINT를 혼용하여 사용하는경우 CMD는 ENTRYPOINT의 인자로 들어가게된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