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작성 이유
혼자서 열심히 카프카를 해보기위하여 강의를 보던 중 EDA (Event-Driven Architecture)를 구성하는 내용이 있었다. 거기서 EDA가 어떤 아키텍처인지? 어떤 특성들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하여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EDA (Event-Driven Architecture)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패턴으로, 시스템 내 발생하는 이벤트를 기반으로 컴포넌트들이 통신하는 구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구독하고 있는 각각의 컴포넌트들이 동작
EDA 특징?
높은 비동기성, 느슨한 결합
=> 이벤트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직접적인 의존 관계를 제거하여 구현됨.
=> 시스템의 확장성/유연성이 향상됨
EDA 장점
1. 시스템간의 결합도가 낮다.
- 이벤트 메시지를 통해서 통신을 하기 때문에, 일부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2. 확장성 및 재사용성 향상
- 이벤트를 중심으로 모듈화 되어있기 때문에, 필요에따라 기능 추가/변경이 용이하다.
3. 비동기 처리를 통한 시스템 최적회
- 이벤트 처리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기때문에 병목 현상을 줄이고, 시스템 전체 처리량을 높일 수 있다.
4. 유연한 시스템 통합
- 다양한 시스템, application 간의 통합 및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만들어준다. (복잡한 환경에 유리)
EDA 단점
1. 시스템 복잡도 증가
- 이벤트의 흐름을 추적하고 관리해야하며 이벤트, 처리 로직을 분리해야한다.
2. 이벤트의 처리 순서를 보장하기 어려움
- 다수의 이벤트가 비동기로 작동하다보니 순차적 처리를 보장하기 어렵다.
3. 복잡한 데이터 일관성 유지
- 이벤트 기반으로 각각의 서비스들이 작동하는 구조이다보니, 데이터가 서비스에 걸쳐 분산되어있을 수 있으며, 이로인해 일관된 데이터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4. 어려운 디버깅 & 테스트
- 비동기 분산 시스템에서는 이벤트 및 로그를 확인하며 추적해야하다보니 디버깅 난이도 증가.
- 모든 가능한 이벤트의 조합을 테스트하기 어려움.
EDA를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
1. 시스템의 요구 사항과 목표를 명확히 하자.
- 시스템의 특성과 요구 사항을 잘 이해해야 EDA의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다.
2. 이벤트 설계와 모델링에주의
- 이벤트 정의 및 구조가 기능/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3. 이벤트 처리와 관련한 베스트 프랙티스와 패턴 적용
- EDA의 복잡도를 관리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지원하기 위함.
4. 시스템 전체의 관점에서 모니터링 및 로깅 전략 수립
-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이 복잡 => 시스템의 상태와 이벤트 흐름을 효과적으로 추적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사용 분야
주로 실시간 정보 처리가 중요한 시스템, 대규모 분산 시스템, MSA 등에서 사용된다.
왜냐하면 이벤트 기반 아키텍쳐는 변화하는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고,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을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refs
EDA란? : https://f-lab.kr/insight/understanding-event-driven-architecture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의 이해와 장단점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의 개념, 장점, 단점 및 구현을 위한 주요 고려 사항을 설명합니다.
f-lab.kr
728x90
반응형
LIST